레버리지 & 인버스 뜻과 차이점
주식과 더불어 ETF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. 처음 ETF를 접하게 되면 다양한 용어 때문에 어렵게 느껴지기 마련이죠. 특히 인버스와 레버리지라는 용어를 가장 많이 보게 될 텐데요 과연 이 두 개의 뜻과 차이점은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레버리지 뜻 [Leverage]
레버리지는 기초지수의 변동폭보다 몇배의 수익을 내거나, 손실이 나는 상품으로 한국에서는 두배까지 허용됩니다.
만약에 코스피 200200 지수를 기초지수라고 하고
코스피 지수가 1% 오르면, 레버리지는 2%로 두배가 상승합니다.
반대로 코스피 지수가 1% 내리면, 레버리지는 2배가 하락하는 것을 말합니다.
핵심내용
레버리지는 상승하는 장에 투자하는 것을 말하며 만약 투자에 성공했을 때 기초지수보다 2배 높은 수익을 가져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그만큼 하락했을 경우 2배로 손실을 보게 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.
장기투자보다는 단타 방식으로 하는 것이 올바르며 한번 물렸을 경우 원금회복이 느리기 때문에 위험한 상품이기도 합니다.
인버스 뜻 [Inverse]
인버스는 레버리지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기초지수가 오르면 인버스는 하락하고, 기초지수가 내리면 인버스는 상승하는 것을 말합니다.
만약에 코스피 200200 지수를 기초지수로 두고
코스피지수가 1% 하락할 경우 인버스 상품은 1% 상승합니다.
반대로 코스피 지수가 1% 상승할 겨우 인버스 상품은 1% 하락하게 됩니다.
핵심 내용
인버스는 하락하는 장에 투자하는 것을 말하며 전체적으로 코스피 지수가 떨어졌을 때 수익을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코스피 지수가 오르면 손해를 볼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.
그럼 아래 인버스와 레버리지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.
인버스 레버리지 차이점
각각 반대의 개념을 가진 인버스와 레버리지
좌측 레버리지 상품이 상승하면 우측 인버스 상품이 하락하는 것을 볼 수 있고,
레버리지 상품이 하락하면 인버스 상품이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기초 지수에 따라서 시기를 잘 맞춰 투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함께 보면 좋은 글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