내 계좌 한눈에 숨은 돈 찾기
어느 날 문득 내 계좌에 총얼마가 있지? 궁금할 때가 있지 않으신가요. 예전에 만들어 놓고 까먹은 통장 계좌 다들 하나씩은 있죠. 이렇게 까먹고 못 찾은 돈이 생각보다 많다고 하는데요. 오늘은 나의 숨은 돈을 찾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. 그동안 잊고 있었던 계좌에 돈을 찾는 기쁨까지 만끽할 수 있으니 꼭 조회해봐야겠죠? 숨은 돈은 찾은 후 바로 다른 계좌로 이체도 가능하니까 아주 편리한 사이트입니다.
내 계좌 한눈에 휴면 계좌 조회 사이트
나의 계좌를 모두 찾기 위해서는 ‘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’를 통해서 아주 간단하게 할 수 있답니다. 휴면계좌는 은행에 돈을 넣어놓고 5년간 찾지 않는 돈을 말합니다. 그럼 아래 간단하게 조회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내 계좌 한눈에 휴면계좌통합조회 방법
1. 계좌정보 통합관리 서비스 접속 (https://www.payinfo.or.kr/account.html)
나의 숨은 돈을 찾기 위해서는 계좌정보 통합관리 서비스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 사이트를 통해 들어가거나 검색해서 들어가셔도 됩니다.
2. 계좌 통합 조회
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다양한 버튼이 보이는데 오늘 우리가 알아볼 계좌 찾기는 퀵 메뉴에 있는 첫 번째 ‘계좌통합조회(은행)’을 들어가면 됩니다. 제 1금융권 외 22 금융권인 저축은행이나, 상호금융, 우체국 계좌를 찾을 분들은 두 번째 카테고리로 들어가시면 됩니다.
3. 이용약관 동의
우선 계좌 조회를 하기에 앞서서 이용약관에 ‘전체 동의하기’를 클릭해주세요.
4. 주민번호 입력 후 공동 인증서(금융인증서) 로그인
주민번호 입력란에 주민번호 13자리 입력 후에 공동 인증서 또는 금융인증서를 통해 로그인해줍니다.
5. 휴대폰 인증
본인확인을 위해 휴대폰 인증도 거쳐야 합니다. 보안 문자 입력 후 '확인' 버튼을 눌러주세요. 아래에는 내가 자주 사용하는 은행을 체크한 후 휴대폰 인증을 통해서 인증번호를 입력한 후 '인증 확인' 해줍니다.
6. 휴면 계좌 내역 확인
휴대폰 인증이 완료되었으면 은행별 계좌 내역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 저의 경우 총 8개 은행이 뜨고 비활동성 게좌가 하나은행 1건으로 나타나 있네요. 활동성 계좌는 1년 이내 입출금 거래가 이루어진 것을 말하고, 비활동성 계좌는 1년 이상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는 계좌로 휴면계좌라고 할 수 있습니다.
7. 휴면 계좌 잔고 이전
자세한 내역을 보기 위해서는 상세조회에서 파란색 버튼 ‘조회’를 클릭하면 계좌이름과 계좌번호, 개설일, 최종입출금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만약 잔고에 돈이 있다면 ‘계좌 해지 잔고 이전’의 ‘신청’ 버튼을 클릭하면 잔고를 다른 통장으로 옮길 수 있습니다. 저의 경우 예전에 한번 이렇게 44만 원을 찾아서 다른 곳으로 출금한 기억이 있답니다.
잔고 이전 시 주의사항
계좌 해지나 잔고 이전은 1년 이상 입출금 거래가 없거나 만기 후 1년이 경과한 비활동성 계좌 중 잔고가 50만 원 이하인 경우에 한해서 신청이 가능하다고 해요. 만약 50만 원 이상이라면 통장을 갖고 은행에 방문해 휴면계좌를 풀고 출금하시면 됩니다.
함께 보면 좋은 글
댓글